당근영어 - 고급(Advanced) 문제 #004
복잡한 문법 구조 마스터하기
고급 영어 구사를 위해서는 복잡한 문법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정법, 분사구문, 관계절, 시제의 일치 등의 복잡한 구조는 학술적 글쓰기와 고급 회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다양한 고급 문법 구조를 학습하고, 실제 상황에서 정확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학습 목표
1. 가정법 현재, 과거, 과거완료 구문 이해하고 활용하기
2. 다양한 분사구문과 분사의 올바른 사용법 익히기
3.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활용한 복합문 구성하기
4. 도치 구문과 강조 구문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 배우기
5. 시제의 일치와 복잡한 시제 표현 익히기
고급 문제 연습
학습 힌트
가정법의 종류와 활용
영어의 가정법은 현실과 다른 상황을 가정할 때 사용하며, 시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가정법 현재(Unreal Present):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
- 형태: If + 주어 + 동사 과거형, 주어 + would/could/might + 동사원형
- 예시: "If I were rich, I would travel around the world."
- be동사는 인칭에 관계없이 'were' 사용 (were는 가정법의 표지)
- 가정법 과거(Unreal Past):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
- 형태: If + 주어 + had + p.p., 주어 + would/could/might + have + p.p.
- 예시: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 혼합 가정법(Mixed Conditionals): 다른 시제의 가정법을 조합
- 과거 사실의 현재 결과: "If I had studied medicine, I would be a doctor now."
- 현재 사실의 과거 결과: "If I were more careful, I wouldn't have made that mistake."
가정법은 공식적인 상황, 학술적 글쓰기, 외교적 표현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진행형이나 수동태와 결합하여 더 복잡한 구조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분사구문과 관계절의 활용
1. 분사구문(Participle Construction)
분사구문은 두 개의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여 더 간결하고 세련된 표현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 현재분사구문: 주절과 같은 시점이나 능동의 의미 전달
- 예시: "Walking home, I saw an old friend." (= While I was walking home, I saw an old friend.)
- 과거분사구문: 수동적 의미나 완료된 행동 표현
- 예시: "Disappointed by the results, the team decided to change their strategy." (= Because they were disappointed by the results, the team decided to change their strategy.)
- 완료형 분사구문: 주절보다 앞선 행동 표현
- 예시: "Having finished the assignment, she went to bed." (= After she had finished the assignment, she went to bed.)
2. 관계절(Relative Clauses)
관계절은 명사를 수식하는 절로, 문장을 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만듭니다.
- 제한적 관계절: 선행사를 한정하여 다른 것과 구별함 (콤마 없음)
- 예시: "The book which is on the table belongs to me."
- 비제한적 관계절: 부가적인 정보 제공 (콤마 사용)
- 예시: "My sister, who lives in London, is visiting next week."
- 관계대명사/부사 선택 가이드:
- 사람 주격: who
- 사람 목적격: whom/who
- 사물 주격/목적격: which/that
- 소유격: whose
- 장소: where
- 시간: when
- 이유: why
분사구문과 관계절을 적절히 활용하면 문장의 구조를 다양화하고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도치, 강조 구문과 시제의 일치
1. 도치 구문(Inversion)
도치는 문장의 일반적인 어순(주어+동사)을 바꾸어 특별한 효과를 주는 구문입니다.
- 부정어구 도치: 부정어구로 문장을 시작할 때
- Never have I seen such beauty. (I have never seen...)
- Rarely does he visit his parents. (He rarely visits...)
- 조건절 도치: if를 생략하고 조동사를 문장 앞으로
- Had I known earlier, I would have helped. (If I had known...)
- Were you to ask him, he would refuse. (If you were to ask...)
- 부사구 도치: 특정 부사구로 문장 시작
- Here comes the bus. (The bus comes here.)
- Out went the lights. (The lights went out.)
2. 강조 구문(Cleft Sentences)
특정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 문장을 재구성하는 방법입니다.
- It-cleft: "It is/was + 강조하는 요소 + that/who + 나머지 문장"
- It was John who solved the problem. (John solved the problem.)
- It is in this room that we first met. (We first met in this room.)
- Wh-cleft (의사분열문): "What/The thing + 나머지 문장 + is/was + 강조하는 요소"
- What I need is a cup of coffee. (I need a cup of coffee.)
- What surprised me was his reaction. (His reaction surprised me.)
3. 시제의 일치(Sequence of Tenses)
주절의 시제에 따라 종속절의 시제가 결정되는 규칙입니다.
- 기본 원칙:
- 주절이 현재/미래시제 → 종속절은 모든 시제 가능
- 주절이 과거시제 → 종속절도 과거 계열 시제 사용
- 주절이 과거시제일 때의 변화:
- 현재시제 → 과거시제: "She says she is busy." → "She said she was busy."
- 현재완료 → 과거완료: "He knows I have finished." → "He knew I had finished."
- 미래시제 → 과거미래: "They think it will rain." → "They thought it would rain."
- 예외:
- 보편적 진리: "The teacher explained that the Earth revolves around the Sun."
- 여전히 유효한 사실: "She told me that her house is near the station."
이러한 고급 문법 구조들은 영어의 다양한 표현력을 높이고, 보다 세련된 문장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많은 연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