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목록으로 돌아가기
당근영어 - 고급(Advanced) 문제 #001
레벨: 고급(Advanced)
카테고리: 학술적 영어
목표: 영어 에세이 작성법과 학술적 표현 익히기
난이도: 중학교 고학년~고등학교 수준
학술적 글쓰기의 기초
학술적 영어 글쓰기는 일상 영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논리적인 구조, 형식적인 어휘, 객관적인 표현 등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효과적인 영어 에세이 작성을 위한 기본 구조와 학술적 표현을 배우고,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학습 목표
1. 영어 학술 에세이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2. 학술적 글쓰기에 적합한 형식적 표현과 어휘 익히기
3. 논리적인 주장과 근거를 영어로 제시하는 방법 배우기
4. 인용과 참고문헌 표기법의 기초 이해하기
5. 객관적이고 명확한 영어 문장 작성 능력 향상시키기
고급 문제 연습
상황:
당신은 영어 에세이 작성 수업을 듣고 있으며, 다음 주까지 논술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학술 글쓰기를 위한 다음 문제들을 풀어보세요.
영어 학술 에세이의 일반적인 구조로 올바른 순서는?
설명: 영어 학술 에세이는 보통 서론(Introduction), 본론(Body), 결론(Conclusion)의 구조를 따릅니다. 서론에서는 주제와 논지를 소개하고, 본론에서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며, 결론에서 전체 내용을 요약하고 최종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학술 글쓰기에서 새로운 단락을 시작할 때 사용하기 적합한 연결어(transition word)는?
설명: "Furthermore"(게다가, 더욱이)는 학술적 글쓰기에서 새로운 단락이나 추가적인 논점을 도입할 때 적합한 형식적 연결어입니다. 이와 유사한 연결어로는 "Additionally", "Moreover", "In addition" 등이 있습니다. "Anyway"와 "Kind of", "Stuff like that"은 비격식적 표현으로 학술 글쓰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음 중 학술 에세이의 서론에서 논지(thesis statement)를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설명: 학술 에세이에서는 서론의 끝부분에 명확하고 구체적인 논지(thesis statement)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를 통해 에세이의 전체 방향과 주장을 독자에게 분명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 경험이나 다양한 주제 나열, 질문 형식은 특정 상황에서 도입부로 사용될 수 있지만, 명확한 논지 제시가 학술적 글쓰기의 핵심입니다.
학술 글쓰기에서 인용을 사용할 때의 올바른 방법은?
설명: 학술 글쓰기에서 인용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명확히 표기해야 합니다. 이는 학문적 정직성을 유지하고 표절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인용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거나 다른 시각을 제시하기 위해 적절히 사용해야 하며, 과도한 인용은 오히려 글의 독창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다음 중 학술적 글쓰기에 적합한 문장은?
설명: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this phenomenon occurs in 85% of the observed cases (Smith, 2018)."는 학술적 글쓰기에 적합한 문장입니다. 이 문장은 객관적이고 형식적인 어투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수치와 출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비격식적 표현, 과장된 표현, 또는 주관적 의견이 포함되어 학술 글쓰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학습 힌트
학술적 에세이의 구조
효과적인 학술 에세이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릅니다:
- 서론(Introduction): 주제 소개, 배경 정보 제공, 논지(thesis statement) 제시
- 본론(Body): 주요 논점 전개, 각 단락은 하나의 주요 아이디어에 집중
- 결론(Conclusion): 주요 논점 요약, 논지 재확인, 더 넓은 의미 또는 향후 연구 방향 제시
각 단락은 주제문(topic sentence)으로 시작하여 주요 아이디어를 명확히 하고, 그 다음에 설명, 예시, 증거 등이 이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학술적 어휘와 표현
학술 글쓰기에 적합한 어휘와 표현을 익히세요:
- 연결어(Transition words): Furthermore, Moreover, In addition, However, Nevertheless, Consequently, Therefore 등
- 객관적 표현: "It is evident that...", "Research indicates...", "Studies have shown..." 등
- 정확한 동사 사용: "illustrates", "demonstrates", "analyzes", "examines" 등 구체적이고 정확한 동사 활용
- 형식적 표현: 축약형(don't, can't 등) 대신 완전한 형태(do not, cannot) 사용
일상적이거나 비격식적인 표현, 과장된 표현, 감정적 언어는 피하고, 명확하고 객관적인 톤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용과 참고문헌 작성법
학술 글쓰기에서 인용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 직접 인용: 원문을 그대로 인용할 때는 따옴표로 표시하고 출처 정보(저자, 연도, 페이지)를 함께 제시
- 간접 인용(paraphrasing): 원문의 내용을 자신의 말로 바꾸어 표현하되, 여전히 출처 정보 제시 필요
- 인용 스타일: APA, MLA, Chicago 등 학문 분야에 맞는 인용 스타일 사용
- 참고문헌 목록: 글의 끝에 모든 인용 출처를 정리한 참고문헌 목록 첨부
인용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거나 다른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하고, 인용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