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 중급(Intermediate)
카테고리: 영어 수동태
목표: 수동태의 올바른 사용법 익히기
난이도: 초등학교 5학년 수준

문제 설명

수동태(Passive Voice)는 문장의 주어가 동작을 받는 경우에 사용하는 문법 구조입니다. 행위자보다 행위의 대상이나 결과를 강조할 때, 행위자가 불분명하거나 중요하지 않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수동태는 'be동사 + 과거분사(p.p.)'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능동태와 수동태의 변환 및 다양한 시제에서의 수동태 사용법을 연습합니다. 각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형태를 선택하여 문장을 완성해보세요.

학습 목표

1. 현재시제 수동태 이해하기 (am/is/are + p.p.)
2. 과거시제 수동태 이해하기 (was/were + p.p.)
3. 미래시제 수동태 이해하기 (will be + p.p.)
4. 현재완료 수동태 이해하기 (have/has been + p.p.)
5. by + 행위자 구문 이해하기

문제 풀기

This house ________ in 1920.
A
was built
B
is built
C
has built
D
was building
설명: 과거의 특정 시점(1920년)에 이루어진 동작이므로 과거시제 수동태(was/were +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This house was built in 1920"은 "이 집은 1920년에 지어졌다"라는 의미입니다.
English ________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
speak
B
is spoken
C
was speaking
D
has spoken
설명: 현재의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므로 현재시제 수동태(am/is/are +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English is spoken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는 "영어는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사용된다"라는 의미입니다.
The letter ________ by tomorrow.
A
is sent
B
was sent
C
will be sent
D
has been sent
설명: 미래에 일어날 일이므로 미래시제 수동태(will be +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The letter will be sent by tomorrow"는 "그 편지는 내일까지 보내질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The Mona Lisa ________ by Leonardo da Vinci.
A
is painting
B
was painted
C
is painted
D
has painting
설명: 과거에 완료된 사건이므로 과거시제 수동태(was/were +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행위자는 'by + 행위자' 형태로 표현합니다. "The Mona Lisa was painted by Leonardo da Vinci"는 "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그려졌다"라는 의미입니다.
A new shopping mall ________ in our city since last year.
A
is building
B
was built
C
is being built
D
has been built
설명: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되는 상황을 나타내므로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been +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A new shopping mall has been built in our city since last year"는 "새로운 쇼핑몰이 작년부터 우리 도시에 지어져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학습 힌트

수동태의 기본 구조:
- 현재 수동태: am/is/are + 과거분사
예: The room is cleaned every day. (그 방은 매일 청소된다.)
- 과거 수동태: was/were + 과거분사
예: The window was broken yesterday. (창문은 어제 깨졌다.)
- 미래 수동태: will be + 과거분사
예: The project will be finished next week. (그 프로젝트는 다음 주에 완료될 것이다.)
- 현재진행 수동태: am/is/are being + 과거분사
예: The house is being painted now. (그 집은 현재 페인트칠이 되고 있다.)
- 현재완료 수동태: have/has been + 과거분사
예: The car has been repaired. (그 차는 수리되었다.)
능동태에서 수동태로 전환하는 방법:
1. 능동태의 목적어를 수동태의 주어로 만듭니다.
2. 적절한 시제의 be동사를 사용합니다.
3. 동사의 과거분사형을 사용합니다.
4. 필요하다면 by + 능동태의 주어를 추가합니다.

예시:
- 능동태: John writes a letter. (존이 편지를 쓴다.)
수동태: A letter is written by John. (편지가 존에 의해 쓰여진다.)

- 능동태: They built this bridge in 2010. (그들은 이 다리를 2010년에 지었다.)
수동태: This bridge was built in 2010. (이 다리는 2010년에 지어졌다.)

- 능동태: Someone has stolen my bike. (누군가가 내 자전거를 훔쳤다.)
수동태: My bike has been stolen. (내 자전거가 도난당했다.)
수동태의 특별한 경우와 주의사항:
1. 행위자가 중요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았을 때 by 구문을 생략합니다.
예: My car was stolen last night. (내 차가 어젯밤에 도난당했다.)

2. 특정 동사는 목적어를 두 개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가지 형태의 수동태가 가능합니다.
- 능동태: She gave me a book. (그녀는 나에게 책을 주었다.)
- 수동태 1: I was given a book by her. (나는 그녀에게 책을 받았다.)
- 수동태 2: A book was given to me by her. (책이 그녀에 의해 나에게 주어졌다.)

3. 전치사가 있는 동사(구동사)의 경우:
- 능동태: We will look after the children. (우리는 아이들을 돌볼 것이다.)
- 수동태: The children will be looked after. (아이들은 돌봐질 것이다.)

4. 일반적으로 수동태를 사용하는 경우:
- 행위자가 불분명하거나 중요하지 않을 때
- 행위의 대상이나 결과를 강조하고 싶을 때
- 공식적인 글이나 과학적 문서에서
- 범인을 모를 때 (예: The money was stolen. 돈이 도난당했다.)